2024년 04월 26일 금요일

  • 서울 24℃

  • 인천 24℃

  • 백령 17℃

  • 춘천 25℃

  • 강릉 24℃

  • 청주 26℃

  • 수원 24℃

  • 안동 25℃

  • 울릉도 17℃

  • 독도 17℃

  • 대전 27℃

  • 전주 25℃

  • 광주 23℃

  • 목포 19℃

  • 여수 20℃

  • 대구 25℃

  • 울산 20℃

  • 창원 23℃

  • 부산 20℃

  • 제주 20℃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15% 감소한 110억9000만달러···역대 3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15% 감소한 110억9000만달러···역대 3위

등록 2022.07.15 15:30

주혜린

  기자

우크라 사태·금리 인상에 작년보다 줄어

사진=산업부 로고사진=산업부 로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 한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지난해보다 15% 이상 감소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는 증가해 역대 3위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상반기 FDI가 신고 기준 110억900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15.6% 감소했다고 15일 밝혔다. 실제 투자 도착 기준으로는 21.1% 감소한 69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건수는 신고 기준 1640건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10.1%, 도착 기준 1183건으로 12.1% 각각 늘었다.

산업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글로벌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으로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작년 상반기보다는 FDI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상반기보다는 12.3% 증가해 역대 세 번째로 높은 신고금액을 기록했다. 도착금액은 역대 4위였다.

산업부는 유럽연합(EU)발(發) 투자와 서비스업 투자가 각각 73.2%와 26.3% 감소했지만, 제조업(53.3%)과 그린필드형(공장이나 사업장을 짓는 방식·9.1%)이 확대됐고 투자 신고·도착 건수가 늘어난 점은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들여다보면 제조업 신고액이 31억달러로 작년보다 53.3% 증가했다. 전체 FDI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4%였다. 제조업 내에서는 의약(1779.4%), 식품(484.4%), 제지·목재(353.3%), 기계장비·의료정밀(196.0%), 금속(74.1%) 등의 업종에서 투자가 큰 폭으로 늘었다. 반면 비금속광물(-81.2%)과 운송용기계(-41.9%), 화공(-7.1%)은 투자 유입이 부진했다.

서비스업 신고금액은 76억4000만달러로 작년보다 26.3%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FDI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8.9%였다. 운수·창고(268.6%), 여가·스포츠·오락(190.6%), 부동산(61.4%) 등의 투자가 늘었지만 사업지원·임대(-99.4%), 숙박·음식(-74.9%), 정보통신(-27.4%) 등의 업종에서 투자가 감소한 영향이다. 농·축·수산·광업 등 1차 산업과 전기·가스·수도 건설 등이 포함된 기타업종의 신고금액은 3억4500만달러로 53.7%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신고액이 29억500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39.5% 증가했으며 일본의 신고액(8억9000만달러)도 62.1% 늘었다. EU 신고액(17억4000만달러)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투자가 모두 줄면서 73.2% 감소했고, 중화권 신고액(24억5000만달러)도 13.1% 감소했다.

신고금액을 자금별로 보면 신규투자와 증액투자는 각각 10.7%, 19.9% 감소했으나 장기 차관은 27.6% 늘었다. 유형별로는 그린필드형이 작년 동기 대비 9.1% 늘어난 82억6000만달러, M&A(인수합병)형이 49.2% 감소한 28억3000만달러였다.

그린필드형 중 2억달러 이상 10억달러 미만의 투자를 받은 사례로는 친환경차 생산 확대를 위해 버진아일랜드발 투자를 받은 운송용 기계 제조업체, 고기능성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과테말라), 제주 리조트를 개발 중인 부동산업체(미국), 신규 물류센터를 건립 중인 서비스업체(미국) 등이 있다.

2억달러 이상 10억달러 미만의 M&A형 투자를 받은 사례는 게임개발사 지분 취득을 목적으로 투자를 받은 정보통신 서비스 업체(네덜란드), 통신기업 주식예탁증서를 주식으로 전환한 정보통신 서비스업체(일본) 등이었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