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5℃

  • 인천 5℃

  • 백령 6℃

  • 춘천 7℃

  • 강릉 9℃

  • 청주 7℃

  • 수원 5℃

  • 안동 7℃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7℃

  • 전주 7℃

  • 광주 8℃

  • 목포 9℃

  • 여수 10℃

  • 대구 9℃

  • 울산 10℃

  • 창원 9℃

  • 부산 10℃

  • 제주 8℃

수출로 버틴 1분기 한국 경제···한은 성장률 전망치 수정 불가피

수출로 버틴 1분기 한국 경제···한은 성장률 전망치 수정 불가피

등록 2022.04.26 10:41

수정 2022.05.02 10:55

한재희

  기자

1분기 실질 GDP 전기 대비 0.7% 증가민간소비·건설투자 큰 폭으로 감소견고한 회복세 수출이 떠받쳤지만우크라이나사태·高물가 등 악재 여전

황상필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2년 1/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황상필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2년 1/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올해 1분기 우리나라 실질 GDP(국내총생산)가 전분기 대비 0.7% 증가하는데 그쳤다. 한국은행은 연간 전망치 3.0% 달성에 '낙관적'인 입장을 보였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글로벌 공급 차질 등 악재가 여전한 상황이어서 내달 한은의 성장경로 전망이 수정될 지 관심이 쏠린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1분기 실질 GDP가 전기 대비 0.7% 늘었다. 이는 직전분기보다 0.5%p(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수출이 4.1% 증가하면서 성장률을 이끌었지만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유행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이 장기화 영향으로 민간소비와 건설투자가 큰 폭으로 떨어지며 전체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분기별 실질 GDP 성장률을 살펴보면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2%)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가 3분기(2.2%) 증가 전환했다. 이어 4분기 1.1%, 2021년 1분기 1.7%, 2분기 0.8%,, 3분기 0.3%, 4분기 1.2%로 지난해 연간 성장률 4.0%를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민간소비는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오락문화·운수·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0.5% 감소했다. 민간소비는 2020년 4분기 -1.3%에서 2021년 1분기 1.2%로 반등한 뒤 2분기 3.6%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3분기부터 -0.2%, 4분기 1.6% 로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하다가 이번 분기 크게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건물 및 토목 건설이 모두 줄어 2.4%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줄어 4.0% 줄었다. 2019년 1분기(-8.3%)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는 정부부분을 중심으로 위축됐기 때문인데, SOC 투자관리 집행이 축소됐고 지난해 4분기 기저효과 영향으로 풀이된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의 기여도는 각 -0.2%p, -0.4%p, -0.4%p로 분석됐다.

정부소비는 물건비가 늘었으나 사회보장현물수혜가 줄어 전분기 수준을 나타냈다. 지난해 50조원 규모의 추경을 통해 지급한 재난지원금 등 효과가 사라진 영향이다. GDP 성장에 정부 기여도는 0.6%p 감소한 반면, 민간 기여도는 1.3%p 증가했다.

반면 수출은 견고한 회복세를 보이며 한국 경제를 떠받쳤다. 반도체,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4.1%, 수입은 원유 등이 늘어 0.7% 증가했다.

황상필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수출 전망에 대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중국 등 세계 경제 성장률 둔화 등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커지고 있다"면서도 "4월 실적을 보면 코로나로 위축된 반도체·자동차 등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긍정적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경제활동별로는 건설업이 감소하고 서비스업은 소폭 줄었으나 제조업이 증가세를 지속했다.

농림어업은 축산업을 중심으로 4.1%, 제조업은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이 늘어 3.4%,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기업을 중심으로 3.8%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 및 토목 건설이 모두 줄어 0.6%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 등이 늘었지만 운수업,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등이 줄면서 0.1% 감소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악화로 전분기대비 0.6% 증가하면서 GDP 성장률을 소폭 하회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0.1% 성장한 수치다.

1분기 성장률이 0.7%에 그치면서 연간 3.0% 성장률 달성 가능 여부에 물음표가 붙었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민간 소비가 살아날 것이란 예상이 가능하지만 글로벌 교역 문제, 원자재값 상승, 우크라이나사태 장기화 등 악재도 여전해서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월 전망치보다 0.5%p 끌어내린 2.5%로 수정 전망했다. 한은은 내달 경제성장률 수정 전망치를 발표한다.

황 국장은 "단순 숫자상으로 보면 올해 1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3.1% 성장했기 때문에 상반기 전망치인 2.8%보다 잘 나왔다고 본다"며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0.6~0.7% 성장하면 연간 3% 성장률이 달성된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