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5℃

  • 인천 6℃

  • 백령 6℃

  • 춘천 5℃

  • 강릉 8℃

  • 청주 6℃

  • 수원 5℃

  • 안동 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6℃

  • 전주 6℃

  • 광주 7℃

  • 목포 8℃

  • 여수 9℃

  • 대구 6℃

  • 울산 7℃

  • 창원 7℃

  • 부산 9℃

  • 제주 7℃

1분기 선방한 SK하이닉스 “하반기 불확실성 여전”(종합)

1분기 선방한 SK하이닉스 “하반기 불확실성 여전”(종합)

등록 2020.04.23 12:19

이지숙

  기자

1분기 영업이익 8003억원···전분기 比 239%↑모바일 고객 수요 줄었으나 서버향 수요 강세향후 전망 불확실···고용량 서버 제품 확대 집중

1분기 선방한 SK하이닉스 “하반기 불확실성 여전”(종합) 기사의 사진

SK하이닉스가 1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깜짝 실적’을 거뒀으나 향후 불확실성에 웃지 못하는 모습이다.

23일 SK하이닉스는 1분기 매출액 7조1989억원, 영업이익 8003억원을 거둬 전분기 대비 각각 4%, 239%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율과 순이익률은 각각 11%, 9%에 달했다.

이는 당초 1분기 시장 전망치인 매출액 6조8680억원, 영업이익 5091억원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D램은 계절적인 비수기에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모바일 고객의 수요가 줄어들었으나 서버향 수요 강세가 이를 상쇄했다. 낸드플래시도 서버용 SSD 수요가 늘면서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12% 증가했으며 평균판매가격은 7% 상승했다.

MCP(멀티칩패키지)의 경우 출하량은 감소했으나 가격 상승이 이를 상쇄하며 매출은 전분기대비 2% 증가했다.

SK하이닉스 측은 “10나노미터중반(1ynm)과 96단 수율 향상과 제조원가 절감 노력으로 인한 전 제품군의 수익성 개선과 함께 SSD 판매 비중 확대 및 재고평가손실 환입 등으로 낸드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 관련 이익 등으로 순영업외이익이 약 1280억원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향후 전망은 과거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불확실한 상황이다. SK하이닉스는 23일 진행된 컨퍼런스콜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수급환경 불확실성 고려해 연간 가이던스 제시 어렵다고 밝히기도 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반도체 추하량이 전년대비 3%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2018년 대호황 대비 시황이 꺾인 반도체 시장이 올해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전체적인 반도체 수요 회복세가 더뎌지고 있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는 아직까지 코로나19 영향이 미미한 수준이나 향후 스마트폰 수요 감소 영향과 장비 수급 등의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 측은 “일부 장비업체는 국가간 이동제한 조치가 계속되며 정상적인 조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아직까지 대체 수단을 강구하며 운영이 잘 되고 있으나 장기화될 경우 실질적인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리스크가 큰 시장으로는 스마트폰을 지목했으며 PC·서버용 메모리 수요는 기회요인으로 꼽았다.

SK하이닉스 측은 “당초 5G 기반 신제품으로 수요 증가가 예상됐지만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둔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단 하반기는 상반기 대비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대로 PC는 2분기 빠른 회복이 예상된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PC는 올해 1분기 중국에서 시작된 록다운 영향으로 세트 생산이 감소했으나 2분기부터는 빠르게 회복할 것”이라며 “크롬북이나 울트라북 수요가 코로나19 사태와 연관해 크게 늘고 있어 하반기 수요까지 고려하면 전체적으로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본원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요 변동에 철저히 대비할 계획이다.

시설 투자는 작년 대비 상당폭 줄인다는 기존 계획을 유지하되, 공정 미세화와 연말로 계획된 M16 클린룸 준비에는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D램 일부 캐파(생산능력)의 CIS 전환과 낸드플래시의 3D 전환도 기존 계획대로 진행한다.

D램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64GB 이상 고용량 서버 모듈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10나노급 2세대(1Y) 모바일 D램 판매 확대로 수익성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낸드플래시의 경우 96단 제품의 비중 확대와 함께 2분기 중에 128단 제품의 양산을 시작한다. 또한, 1분기 40%에 도달한 SSD 판매 비중을 더욱 늘리고 데이터센터향 PCIe SSD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수익성을 꾸준히 개선해 나갈 전망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