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6℃

  • 인천 6℃

  • 백령 6℃

  • 춘천 7℃

  • 강릉 10℃

  • 청주 8℃

  • 수원 5℃

  • 안동 7℃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8℃

  • 전주 8℃

  • 광주 8℃

  • 목포 9℃

  • 여수 11℃

  • 대구 9℃

  • 울산 11℃

  • 창원 9℃

  • 부산 10℃

  • 제주 9℃

그러려고 간 대학이 아닐 텐데?

[스토리뉴스 #더]그러려고 간 대학이 아닐 텐데?

등록 2020.02.13 16:43

이석희

  기자

그러려고 간 대학이 아닐 텐데? 기사의 사진

‘지성의 요람’, ‘캠퍼스의 낭만’. 대학을 말할 때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다. 학문을 탐구하고 캠퍼스에서 선후배가 어울려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곳이 대학일 거라는 생각에서 나온 말이다.

하지만 현실은 지성이나 낭만과는 거리가 멀다. 지식은 있지만 지성은 희미해졌고, 캠퍼스는 있지만 낭만은 사라졌다.

선후배가 공존하는 대학에 남아 있는 것은 이상하게 변해버린 ‘전통’이다. 선배들은 후배들에게 전통이라는 명목으로 많은 것을 제한하고 지시한다.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해서 행동해야 할 성인들이 모인 집단임에도 후배들의 자유의지는 선배들이 답습해온 전통 아래에서 억압당하고 있다.

그러려고 간 대학이 아닐 텐데? 기사의 사진

이상한 전통은 주로 술자리에서 선배로부터 후배에게 전해(?)진다. 신입생을 환영한다는 취지로 선배들이 마련하는 ‘신입생 환영회’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선배들은 후배들에게 무자비한 음주를 강요한다.

이제 막 성인이 돼 자신의 주량이나 음주의 위험성에 대해 무지한 경우가 많은 신입생들은 선배들이 커다란 대접에 가득 따라주는 술을 제대로 저항하지 못한 채 마셔야 한다.

거절하거나 머뭇거리면 선배가 주는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는 가르침의 시간이 뒤따른다. ‘술은 마시면 는다’, ‘우리도 다 그렇게 배웠다’는 말도 선배들의 훈계에서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억지스러운 음주 강요는 각종 사고로 이어진다. 만취해 캠퍼스 내 호수에 빠지거나, 술 자체를 이기지 못해 쓰러지는 신입생들이 속출하며, 심지어 음주로 인해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다.

그러려고 간 대학이 아닐 텐데? 기사의 사진

어긋난 신입생 환영회는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돼 자성의 목소리가 많이 나왔다. 특히 음주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어라 마셔라’에서 ‘각자 즐겁게’로 인식이 많이 바뀌면서 음주 강요는 크게 줄었다.

그랬더니 술을 ‘뿌리는’ 일이 벌어졌다.

전북의 모 사립대에서는 교수까지 나서서 학과 신입생들을 모아놓고 막걸리를 뿌렸다. 추위가 채 가시지 않은 날씨에 외투도 입지 못한 채 신입생들은 막걸리 세례를 받아야 했다.

더한 곳도 등장했다. 부산의 한 대학 동아리에서는 신학기 고사를 지낸 뒤 신입생들을 모아놓고 막걸리에 남은 음식물 찌꺼기를 넣어 끼얹었다. 심지어 청테이프로 신입생을 묶어놓고 오물을 넣은 막걸리를 뿌리기도 했다.

‘액땜 행사’라 부르는 이 이상한 행위 역시 전통이라는 명목 하에 이뤄졌다.

그러려고 간 대학이 아닐 텐데? 기사의 사진

2016년도에 공론화됐던 부산 모 대학 동아리의 가혹행위는 “액땜이라는 전통 아닌 전통은 이후에 절대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던 당시 동아리 대표의 해명이 지켜진 것인지 이후로 다시 거론되지 않는다.

하나 이것도 일부일 뿐 다른 곳에서는 여전히 신입생들을 향한 가혹행위가 이어지고 있다.

군인이나 경찰이 아님에도 거수경례를 강요하고, 선배들에게 ‘다, 까’로 끝나는 말투를 사용할 것을 요구하는 일은 비일비재하다.

물론 지키지 않을 경우 선배들은 그냥 넘어가지 않는다. 훈계를 넘어 얼차려까지 이어진다. 2010년 서울의 모 대학 경찰행정학과에서는 군기를 잡는다고 선배가 후배를 집단 폭행하는 사건도 있었다. 역시나 이것 또한 그들 사이에선 전통이자 문화로 포장된다.

그러려고 간 대학이 아닐 텐데? 기사의 사진

최근 모 대학 간호학과의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 내용이 공개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해당 단톡방에 올라온 공지사항에는 신입생들의 생활 준칙이 담겨 있다. 선배들에게 인사하는 방법부터 각종 내용이 들어 있는데 주로 신입생들이 해서는 안 된다는 일들이 나열돼 있다.

신입생들은 화장을 할 수 없고, 도서관에서 칸막이가 있는 자리에 앉을 수 없다. 또한 화장실도 사용해서는 안 되는 구역이 있다. 타 학과의 선배에겐 인사도 제대로 할 수 없고, 카카오톡의 상태 메시지도 설정해서는 안 된다.

신입생들의 인권이 무시되는 이 준칙을 지키지 않으면 왕따를 시키거나 집합을 시키겠다는 징계규정까지 마련돼 있다.

어떤 대학에서는 신입생은 슬리퍼도 신어서는 안 되고, 복장도 마음대로 선택할 수 없으며, 선이 없는 이어폰은 착용하면 안 된다는 규정이 있다고 한다. 이 규정들은 그들에게 있어서 법보다 우선이다.

그러려고 간 대학이 아닐 텐데? 기사의 사진

지난 3일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발표한 ‘대학 내 폭력 및 인권침해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절반에 가까운(46.4%) 대학생이 인권침해를 경험했다. 인권침해의 주된 가해자는 선배(41.6%)이며, 가해의 명분은 ‘전통’이었다.

과거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과 문화, 선배가 된 그들 역시 신입생이었던 과거에 같은 일을 당했을 것이다. 지금 선배가 된 이들이 과거 자신의 선배들에게 억압을 당할 때는 억울함과 부조리함을 느끼지 않았을까? 그때 쌓인 울분을 전통과 문화라는 억지스러운 이유를 들이대며 후배들에게 토해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역시나 과거 낭만과 지성이 가득한 대학을 꿈꾸던 시절이 있었을 선배들에게 묻고 싶다. 자신들이 당한 걸 후배들에게 물려주는 행위를 진정 전통이라 불러도 되는지를.
ad

댓글